본문 바로가기

#일 1금융

카카오 액면분할. 악재인가 호재인가? (+ 카카오 액면분할 기준일)

안녕하세요, 경제뉴스를 쉽게 풀어드리는 제레미 블로그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카카오 액면분할. 악재인가 호재인가? 」 입니다.

카카오 액면분할. (장작처럼 주식을 쪼개는것..?)

 

 액면분할이 뭐야?

액면분할은 쉽게 말씀드리면, 1주 짜리 주식을 n개로 나누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0,000원짜리 주식 한 주를 5,000원짜리 두 개로 나누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카카오의 주식은 몇개로 분할이 되는 걸까요?

카카오 액면분할 공시 내용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Dart)

 

카카오는 1주가 5개로 분할이 됩니다.
공시내용에서 보시면, 1주당 액면가액이 500 -> 100으로 분할이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신데요.
이에 따라 "주당 가격 ÷ 5"를 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발행주식수는 어떻게 될까요?
액면분할은 총자본을 어떻게 나누느냐만의 문제 이므로, 총 자본량 유지를 위해 발행주식수는 X 5를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공시자료에 분할 후 주식수는 443,523,100이 되는 거죠. ( = 88,704,620 X 5 )

 

카카오 주가

3/3일의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카카오의 액면분할 후 주가는 98,700원이 됩니다. (= 493,500 / 5)

 

 액면분할, 왜 하는건데?! 그게그거 아닌가??

많은 분들이 예상하신 것처럼, 액면분할 자체로는 기업의 내재가치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재무관리 및 투자론에서도 액면분할로 인해서는 기업 자본의 아무런 변화가 없음을 주장하고 있죠.

카카오 액면분할 효과

그럼에도,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를 굳이 꼽아보자면, 거래량을 이끌어내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카카오만 봐도, 주가가 어느새 50만 원 전후로 엄청 상승을 한 상황이죠. 작년 이맘때 즘만 해도 20만 원 이하였던 것 같은데..


단위당 주가가 높아질수록, 소액 투자자들은 거래하기가 부담스러워지고, 이로 인해 거래량이 감소할 수가 있습니다.
이럴 때 액면분할을 하면 거래량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카카오의 액면분할 기준일과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카오 액면분할 기준일 (출처 : Dart)

2021년 4월 15일부터 액면 분할된 카카오 주가로 다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4월 12일 ~ 4월 14일 동안은 카카오 주식 거래가 일시 정지됩니다.)

 

그래서 액면분할은 호재인가? 악재인가?

액면분할 그 자체로는 기업의 자본가치와 무관하다 것이 학계의 정설..입니다. 단순히 액면분할을 한다고 해서 기업의 매출이 상승하거나, 비용이 줄어들지 않기 때문이죠. 즉, 기업의 펀더멘탈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위에도 말씀드린 것처럼 단기적인 거래량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액면분할에 대한 공시가 단기적인 호재라고 보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론과 현실은 늘 다르니까요..)
1주당 가격이 낮아짐으로써 가격 접근성이 좋아져, 매수세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럼 과거 사례는 어땠는지, 삼성전자의 경우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액면분할 (출처 : DART)

우리의 대장 삼성전자도 18년 5월에 액면분할을 한 이력이 있습니다.
무려 1주를 50개로 쪼갰었죠. 이 시기의 삼성전자 주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전자 액면분할 후 주가 (출처 : 네이버금융)

(주가는 액면분할 시행 시기가 아닌, 공시 직후에 반영된다는 가정하에 공시 직후인 18년 1월 31일을 초점으로 맞춰 발췌했습니다.)

오히려 삼전의 경우 액면분할 공시 후 주가가 하락했죠.
액면분할이 거래량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호재"로 단순히 취급해버리면 안 됨을 볼 수 있습니다.
주가에는 늘 변수가 끝도 없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 액면분할 후 주가 (출처 : 네이버금융)

액면분할 시점을 기준으로 한번 더 살펴보면, 우선 거래량은 급격히 늘어났음을 볼 수 있으십니다.
그러나 주가는 여전히 요동을 치고 있죠. 오히려 6월 이후에는 많은 하락세가 있었습니다.

 

이렇듯, 액면분할의 호재 여부에 대해서는, 성급히 판단해서는 안됨을 알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호재라고 쉽게 치부하여 덜컥 매수하기 보다는, 기업의 펀더멘탈을 따져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매매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럼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도 좋은 컨텐츠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